728x90
반응형

lazy loading 5

[WEB] Waterfall 현상: 웹 퍼포먼스의 내부 톺아보기 💧

Waterfall 현상 톺아보기!💧웹 퍼포먼스 최적화 이야기에서 종종 등장하는 “Waterfall 현상”은 네트워크 요청이 마치 폭포처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웹 페이지가 로드될 때, 각 자원(이미지, 스크립트, 스타일시트 등)의 요청이 발생하는 방식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이것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잘못 관리되면 성능 저하와 사용자 경험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요청 간의 의존성과 브라우저의 요청 처리 방식이 원인입니다.특히, 동기적 요청이 많거나 자원이 서로 의존적인 경우, 특정 자원이 로드될 때까지 다음 요청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페이지 로딩 시간이 늘어나고,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낄..

Web 2025.01.29

[Optimizing]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웹 로딩 전략을 알아보자🪚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 톺아보기!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은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작게 쪼개고, 필요한 순간에만 로드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현대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많은 양의 코드와 리소스를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은 초기 로딩 시 모든 코드를 한 번에 다운로드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페이지를 열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코드 스플리팅은 초기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답니다.🧩 코드 스플리팅이란?코드 스플리팅은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작은 청크(chunk)로 나누는 과정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코드를 한 번에 로드하지 않고,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코드만 로드해 불필요한 로딩..

[Optimize] TTI(Time to Interactive)란 무엇일까? 🧾

TTI(Time to Interactive) 톺아보기!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동안 사용자 경험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가 바로 TTI(Time to Interactive)입니다. TTI는 단순히 페이지가 보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페이지와 실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점을 측정합니다. 이 글에서는 TTI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까지 살펴보겠습니다.🌟 TTI란 무엇인가요?TTI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상호작용이란, 클릭 또는 키보드 누름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어 보이지만,버튼을 클릭해도 반응이 없다면,사용자는 해당 페이지가 아..

[Optimize] TTV (Time to Viewport): 웹사이트의 첫 뷰 렌더링 🌄

TTV (Time to Viewport) 톺아보기! 🌄TTV는 Time to Viewport의 약자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열었을 때, 첫 화면(뷰포트)이 렌더링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웹 성능 지표 중 하나로, 첫 인상을 좌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TTV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까지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TTV란 무엇인가요?TTV는 웹사이트가 사용자 화면에 첫 번째 유의미한 콘텐츠를 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합니다. 사용자가 페이지를 열었을 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첫 콘텐츠가 나타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인 First Paint와 유사하지만, TTV는 유저가 실제로 보는 화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예를 ..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웹 성능 최적화의 슈퍼스타 ⭐️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톺아보기! ⭐️웹사이트를 로딩할 때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건 “내 눈앞에 뭐가 제일 먼저 뜨냐”는 거예요. 그렇다면, 구글이 웹 성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는 LCP(Largest Contentful Paint)를 알아볼까요? 🧐🍕 LCP가 뭐야? Largest Contentful Paint, 줄여서 LCP는 화면에 보이는 콘텐츠 중 가장 큰 요소가 렌더링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웹 성능 지표에요. 쉽게 말하면:  “가장 중요한 것(제일 큰 이미지, 헤딩 등)이 뜨는 데 얼마나 걸리냐?”를 재는 거죠.사용자가 웹사이트가 준비됐다고 느끼는 중요한 순간이에요. 왜 중요할까?사용자 경험: 사람들이 가장 기다리는 건 중요한 콘텐츠! 로딩 속도가 느리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