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P (Largest Contentful Paint) 톺아보기! ⭐️
웹사이트를 로딩할 때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건 “내 눈앞에 뭐가 제일 먼저 뜨냐”는 거예요. 그렇다면, 구글이 웹 성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는 LCP(Largest Contentful Paint)를 알아볼까요? 🧐
🍕 LCP가 뭐야?
Largest Contentful Paint, 줄여서 LCP는 화면에 보이는 콘텐츠 중 가장 큰 요소가 렌더링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웹 성능 지표에요.
쉽게 말하면:
“가장 중요한 것(제일 큰 이미지, 헤딩 등)이 뜨는 데 얼마나 걸리냐?”를 재는 거죠.
사용자가 웹사이트가 준비됐다고 느끼는 중요한 순간이에요.
왜 중요할까?
- 사용자 경험: 사람들이 가장 기다리는 건 중요한 콘텐츠! 로딩 속도가 느리면 사용자는 떠나요. 🏃♀️💨
- SEO 점수: 구글이 검색 랭킹에 LCP를 포함한 Core Web Vitals를 활용하기 때문에 LCP가 좋으면 검색 순위에도 플러스!
📏 LCP는 어떤 걸 측정할까?
LCP는 다음과 같은 요소 중 가장 큰 콘텐츠가 화면에 나타나는 순간을 측정합니다:
- 이미지 🖼️: 배경 이미지, <img> 태그
- 텍스트 블록 📜: <h1>, <p> 등 큰 텍스트 요소
- 비디오 썸네일 🎥: 영상 대신 표시되는 썸네일
- 블록 요소의 배경 이미지 🎨: CSS로 설정된 이미지
🤔 LCP가 안 좋아지는 이유
1️⃣ 서버 응답 지연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때
2️⃣ 리소스 로딩 지연 🚦
이미지, 글꼴, 비디오 등이 늦게 로드되면 화면도 늦게 뜹니다.
3️⃣ 클라이언트 렌더링 지연 🛠️
CSS나 JavaScript가 준비되지 않아서 콘텐츠가 렌더링되지 않는 경우
4️⃣ 차단되는 리소스 ⛔
JavaScript 파일이 블로킹되어 렌더링이 지연되는 경우
🍯 LCP를 최적화하는 꿀팁들
- 서버 응답 속도를 개선하자!
- CDN 사용: 리소스를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제공
- 캐싱: 캐시를 활용해 이미 로드된 파일을 다시 요청하지 않도록
- 서버 최적화: 백엔드 로직 최적화로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
- 이미지 최적화는 필수!
- 포맷 최적화: JPEG, PNG 대신 WebP 같은 최신 포맷 사용
- Lazy Loading: 사용자 화면에 들어올 때만 이미지를 로드
- 사이즈 조정: 필요 이상으로 큰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기
- CSS와 글꼴 최적화
- Critical CSS: 화면에 처음 보이는 부분만 스타일링하는 CSS를 분리
- 글꼴 디스플레이: font-display: swap으로 글꼴 로딩 중에도 텍스트 표시
- JavaScript 줄이기
- 코드 스플리팅: 필요한 시점에만 스크립트를 로드
- 타사 스크립트 관리: 불필요한 타사 스크립트 제거
👀 LCP 실시간 확인하기
구글이 제공하는 멋진 도구를 사용해 LCP를 확인하고 개선 포인트를 찾아보세요:
1️⃣ Google PageSpeed Insights:
웹사이트 성능과 함께 LCP 점수를 보여줘요.
2️⃣ Lighthouse: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실행해 LCP와 개선 방안을 확인.
3️⃣ Web Vitals Chrome Extension:
실시간으로 Core Web Vitals 지표를 확인할 수 있어요.
🧐 LCP 예제: 잘못된 사례와 최적화된 사례 비교
Before: 느리고 답답한 LCP
<img src="large-image.jpg" />
👉 큰 이미지를 바로 로드 -> 시간이 오래 걸림.
After: 최적화된 LCP
<img src="small-placeholder.jpg" data-src="large-image.jpg" loading="lazy" />
- loading="lazy"로 필요할 때 이미지를 로드
- 작은 플레이스홀더 이미지를 먼저 보여줘 UX 개선
📈 최적의 LCP 점수는?
구글은 LCP가 2.5초 이하일 때 “좋다”고 평가합니다:
- 좋음: 2.5초 이하
- 보통: 2.5초 ~ 4초
- 나쁨: 4초 이상
🔖 결론
LCP를 잘 관리하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머무를 확률이 높아지고, SEO 점수도 덩달아 올라갑니다!
🌷전설의 개발자가 되어봅시당!🌷
'Front-end > Optimiz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F: 차세대 이미지 포맷의 혁명 🖼️✨ (0) | 2025.03.02 |
---|---|
[Optimizing] WebP: 차세대 이미지 포맷의 모든 것 🖼️ (1) | 2025.01.25 |
[Optimizing]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웹 로딩 전략을 알아보자🪚 (2) | 2025.01.24 |
[Optimize] TTI(Time to Interactive)란 무엇일까? 🧾 (1) | 2025.01.23 |
[Optimize] TTV (Time to Viewport): 웹사이트의 첫 뷰 렌더링 🌄 (3)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