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 18

이벤트 핸들링: 알아두면 일당백! 🎯

이벤트 핸들링,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까? 🎯이벤트 핸들링은 웹 개발에서 빠질 수 없는 기본 중의 기본!버튼 클릭, 키보드 입력, 마우스 움직임 같은 사용자와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게 바로 이벤트 핸들링입니다.오늘은 DOM 이벤트와 React 이벤트 시스템의 차이점, 주의해야 할 점, 실무에서 유용한 팁까지 전부 싹~ 정리해볼게요.이벤트란 무엇인가요? 🧐이벤트는 “사용자와 브라우저 간의 대화”라고 할 수 있어요.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면, 브라우저는 “지금 클릭했어!“라는 신호(이벤트)를 알려주는 거죠.이벤트 처리 흐름이벤트 발생: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누름이벤트 전달: 브라우저가 해당 이벤트를 DOM(Document Object Model) 요소에 전달이..

Front-end/React 2024.11.27

React의 useState: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

React의 useState: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React의 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state)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Hook입니다.함수형 컴포넌트가 클래스 컴포넌트의 state 기능을 가지게 만들어주는 핵심 기능 중 하나죠!초보 개발자부터 베테랑까지, useState를 제대로 이해하면 React 개발이 훨씬 수월해집니다.useState란?useState는 React가 제공하는 Hook 중 하나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state: 현재 상태 값입니다.setState: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initialState: 상태의 초기값으로,..

Front-end/React 2024.11.26

React의 State란? 📦

React의 State란? 📦React의 state는 컴포넌트에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내부 저장소입니다.쉽게 말해, props가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되는 “읽기 전용 데이터”라면,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변경 가능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어요.Props와 State의 차이: 부모-자식 관계 🌉props: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읽기 전용이기 때문에, 자식 컴포넌트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없어요.데이터 변경은 부모 컴포넌트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state: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로, 컴포넌트 자체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어요.상태가 변경되면 해당 컴포넌트와 자식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4.11.25

Front-end/Next.js서버사이드 렌더링(SSR): 서버에서 시작되는 완벽한 HTML의 세계⚙️

서버사이드 렌더링이란? 🗂️서버사이드 렌더링(SSR)은 서버에서 HTML을 완전히 생성한 뒤, 브라우저에 전달하는 렌더링 방식이에요.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모아 HTML을 만들어 보내죠. 덕분에 사용자는 완성된 화면을 빠르게 볼 수 있어요. 이와 반대로,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CSR)은 브라우저가 기본적인 HTML 파일만 받고 나머지 작업(JS 실행, 데이터 로드 등)은 브라우저에서 처리합니다. 즉, CSR은 “빈 껍데기”를 먼저 보내고 클라이언트에서 화면을 완성해요.SSR vs CSR: 무엇이 다른가? 🗄️특징 서버사이드 렌더링 (SSR)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CSR)렌더링 위치서버에서 HTML 생성 후 전달 브라우저에서 HTML 생성초기 로딩 속도빠름 (HTML 완전..

카테고리 없음 2024.11.24

현대 웹 개발의 렌더링 방식: SSR, CSR, SSG, ISR 완벽 정리 🌝

렌더링 방식을 선택할 때 무엇이 중요할까?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어디에서 HTML을 생성하고 콘텐츠를 렌더링할지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에요. 과거에는 주로 서버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SSR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어요. 이후엔 사용자 경험이 점점 중요해지면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하는 CSR 방식이 부각되기도 했어요. 최근에는 다양한 요구에 맞춰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SSG와 ISR같은 새로운 렌더링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기도 해요. 하지만 결국엔 각각에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메인과 프로젝트의 특성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렌더링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어요. 각각이 어떤 렌더링 방식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살펴봅시다! 🚀1.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CSR: Client-..

Web 2024.11.23

개발자를 위한 SEO: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 🔍

SEO란 무엇일까?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이 단어를 들으면 “마케팅 팀에서나 신경 쓸 일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죠?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SEO는 우리가 작성하는 코드가 핵심이라는 사실입니다.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SEO를 제대로 이해하면 코드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끌어올릴 수 있어요.SEO란 무엇인가요? 🧐SEO는 단순히 “내 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단에 올리자!“에서 그치지 않아요.사용자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전달하고, 검색 엔진이 내 페이지를 더 잘 이해하게 만드는 과정이죠.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코드, 페이지 구조, 속도, 접근성 등을 다루면서 SEO 최적화의 핵심을 담당하게 됩니다. 검색 엔진은 이런 걸 궁금해해요:이 페이지는 사..

Front-end 2024.11.22

React props란? 🎁

React의 props란 무엇인가요? 🎁props는 React에서 컴포넌트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이에요. “properties”의 줄임말로,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값을 넘겨주는 데 사용됩니다. props는 읽기 전용(read-only)이기 때문에, 자식 컴포넌트에서 props를 직접 수정할 수 없어요. 이는 데이터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유지(단방향 데이터 바인딩)할 수 있게 해줍니다.props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 props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를 호출할 때 속성(attribute) 형태로 전달됩니다.자식 컴포넌트는 props 객체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요. 기본 예제: props로 데이터 전달하기function Welcome(props) { retur..

Front-end/React 2024.11.21

자바스크립트의 비구조화 할당: 데이터를 다루는 예술 🌟

비구조화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이란? 🌟 비구조화 할당은 객체나 배열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쏙쏙 골라내어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한 문법이에요.예를 들어, 데이터를 나눠주는 “스마트 택배 분류기”라고 생각해보세요!이 문법 덕분에 코드가 깔끔해지고 가독성이 좋아지며, 데이터 처리도 훨씬 쉬워집니다. 📦 왜 비구조화 할당을 사용할까? 🤔1. 코드 간결화불필요한 연산자를 줄이고, 선언과 추출을 한 번에 할 수 있어요. 또한 변수 선언도 한눈에 파악하기 훨씬 쉬워집니다.2. 가독성 향상어떤 데이터를 추출하는지  “무엇을 가져오는지” 명확하게 보여주므로 협업에도 유리합니다.3. 유연한 데이터 처리필요한 값만 선택적으로 추출 가능해 성능 최적화에 도움을 줍니다.4..

리액트 컴포넌트란? 🧩

리액트 컴포넌트란?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는 UI의 최소 단위로, 앱을 여러 개의 재사용 가능한 조각으로 나눌 수 있게 해줘요.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복잡한 UI를 단순하고 독립적인 모듈로 쪼개어 관리할 수 있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 가독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이 컴포넌트는 단순한 템플릿 그 이상의 기능을 가지며, UI 로직과 데이터를 결합한 자바스크립트 함수 또는 클래스로 이루어져 있어요.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이유 💡 🌟 1. UI 구조화와 재사용성복잡한 UI를 작은 컴포넌트 단위로 나누면, 필요한 부분만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워져요. 예를 들어 버튼이나 입력 필드 같은 UI 요소들을 각각의 컴포넌트로 정의해두면 어디서든 재사용할 수 있죠. 🌟 2.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자바스크립트] 화살표 함수, 뭐가 그렇게 특별할까? 🎯

화살표 함수란? 🎯 화살표 함수는 ES6(ECMAScript 2015)에서 도입된 함수 표현식의 한 형태로 자바스크립트의 현대적이고 깔끔한 함수 표현식이에요. => 구문을 사용해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어요. 기존의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코드가 훨씬 짧아지고, 특히 this를 다루는 방식이 달라 특정 상황에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함수 선언 방식function add(a, b) {  return a + b;}// 화살표 함수const add = (a, b) => a + b; 기존 함수 방식에 비해 문법은 더 간단하고, this는 더 명확해졌어요.그럼, 화살표 함수가 얼마나 매력적인지 한 번 살펴볼까요? ✨전통적인 함수 vs 화살표 함수 🚀1. 문법 차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