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렌더링 10

HMR(Hot Module Replacement): Vite vs Webpack 비교 🌟

HMR(Hot Module Replacement): Vite vs Webpack 비교 🌟HMR(Hot Module Replacement)은 웹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도구로, 코드가 변경될 때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변경된 모듈을 즉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빠르게 결과를 확인하고,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이어갈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HMR이 무엇인지, Vite와 Webpack에서의 HMR 동작 방식, 그리고 둘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 볼게요!HMR이란 무엇인가요? 🤔HMR은 모듈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개발 도구의 기능입니다. 일반적인 브라우저 새로고침과 다르게, 변경된 부분만 갱신하여 전체 상태를 초기화하지 않습니다.HMR의 핵심 목표빠른 피드백..

Front-end 2025.02.05

[Next] SSG(Static Site Generation)란? 🚀

SSG(Static Site Generation)란?🚀 Next.js에서 SSG(Static Site Generation, 정적 사이트 생성)빌드 시점에 HTML을 생성하여, 요청 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렌더링 방식입니다. 즉, 페이지를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해놓고 정적인 HTML 파일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접속할 때 즉시 제공하는 방식이에요. 이렇게 하면 사용자에게 빠른 로딩 속도를 제공하고,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SG는 왜 생겨났을까요?과거에는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사이드 렌더링(SSR)이나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CSR)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그러나 이 방식은 페이지 로딩 시간이나 서버 부하 문제 등에서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특히..

Front-end/Next.js 2025.02.01

[React] Suspense의 동작 방식 및 비동기 처리 톺아보기 🎭

React Suspense의 동작 방식 및 비동기 처리 톺아보기 🎭React에서 Suspense는 비동기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해 사용자 경험(UX)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동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 로딩 상태를 관리하고, 컴포넌트를 적절히 렌더링하는 데 있어 복잡성을 동반하는데요,이 과정에서 상태 관리, 에러 핸들링, 로딩 UI 표시 등이 프론트엔드 개발에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Suspense는1. 비동기 컴포넌트를 쉽게 정의하고, 2. 데이터가 로드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적절한 로딩 상태를 제공함으로써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React의 Suspense를 활용하면,1. 비동기 작업의 진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2.사용자가 기다리는 동..

Front-end/React 2025.01.30

[React] 데이터 로딩 전략의 모든 것 🛠️

데이터 로딩 전략의 모든 것 톺아보기 🛠️React 앱을 개발하다 보면 데이터를 로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접근 방식을 고민하게 됩니다.데이터 로딩 전략은 사용자 경험, 성능, 유지 보수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은 “Fetch on Render”, “Fetch then Render”, 그리고 “Render as You Fetch”라는 세 가지 데이터 로딩 전략을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1. Fetch on Render🧐 무엇인가요?"Fetch on Render" 전략은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이 방법은 React의 useEffect 훅을 사용하여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데이터를 로드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접근법으로, 다음과..

Front-end/React 2025.01.28

[React] React Concurrent: 사용자 경험 향상 기술!🏂

React의 Concurrent를 톺아보자!🏂React는 항상 사용자 경험(UX)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된 강력한 라이브러리라고 합니다. 특히 Concurrent Rendering(동시성 렌더링)은 이를 한층 더 끌어올린 기술인데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여러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때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대량의 데이터가 로드되거나 복잡한 애니메이션이 실행될 때도,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동안 불편함이나 지연을 최소화하여 UI의 부드러움과 반응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 Concurrent Rendering이란?React가 기존에 렌더링을 처리하는 방식React의..

Front-end/React 2025.01.26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웹 성능 최적화의 슈퍼스타 ⭐️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톺아보기! ⭐️웹사이트를 로딩할 때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건 “내 눈앞에 뭐가 제일 먼저 뜨냐”는 거예요. 그렇다면, 구글이 웹 성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는 LCP(Largest Contentful Paint)를 알아볼까요? 🧐🍕 LCP가 뭐야? Largest Contentful Paint, 줄여서 LCP는 화면에 보이는 콘텐츠 중 가장 큰 요소가 렌더링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웹 성능 지표에요. 쉽게 말하면:  “가장 중요한 것(제일 큰 이미지, 헤딩 등)이 뜨는 데 얼마나 걸리냐?”를 재는 거죠.사용자가 웹사이트가 준비됐다고 느끼는 중요한 순간이에요. 왜 중요할까?사용자 경험: 사람들이 가장 기다리는 건 중요한 콘텐츠! 로딩 속도가 느리면..

[React] Context: 글로벌 상태 관리의 은밀한 해결사 🌍

🌍 React의 Context에 대해 톺아보자!React 앱을 개발하다 보면 데이터를 “부모 → 자식 → 손자” 식으로 줄줄이 내려줘야 할 때가 있어요. 이때 우리는 “props drilling”이라는 재미없는 놀이에 빠지게 됩니다. 컴포넌트 간 데이터 전달이 너무 귀찮고 복잡하게 느껴질 때, 바로 React Context가 구세주처럼 등장합니다! 오늘은 React Context의 모든 것을 탈탈 털어봅니다. Context가 뭔지, 왜 써야 하는지, 어떻게 쓰는지, 그리고 실전에서 유용한 팁까지! 😎🌟 Context란?Context는 React 앱에서 컴포넌트 트리 전체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props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달하지만, 중간에 있는 불필요한 컴포넌트들을 거치..

Front-end/React 2024.12.31

[React] render() 함수 완벽 가이드 ✨

React의 render() 톺아보기! ✨React에서 컴포넌트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한 메서드 중 하나가 바로 render() 함수입니다. UI를 구성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이 함수에 대해 깊이 파헤쳐 봅시다. 어디서, 어떻게 사용되고,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알아보고, 실무에서의 활용법과 주의점까지 다뤄볼게요!render() 함수란? 🤔render() 함수는 React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필수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메서드로, 컴포넌트의 UI를 정의합니다. React는 이 함수가 반환하는 결과를 기반으로 DOM을 업데이트하거나 Virtual DOM과 비교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요 특징JSX 반환: render() 함수는 JSX 또는 null을 반환해야 합니다.순수 함수: render() 함수는 외부..

Front-end/React 2024.12.06

[React] React.StrictMode: 깊이 있고 알찬 완벽 가이드 🚀

React.StrictMode 톺아보기! 🚀React.StrictMode는 React 애플리케이션 개발 중 잠재적인 문제를 감지하고 개발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이는 UI를 더 안전하고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개발 환경 전용 도구”로, 생산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React.StrictMode가 왜 중요한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마주칠 수 있는 사용법과 주의점을 하나씩 살펴볼까요?React.StrictMode란? 🤔React.StrictMode는 React에서 제공하는 내장 컴포넌트로, 개발 중 애플리케이션에서 잠재적인 문제를 감지하거나 경고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죠. 주요 역할Deprecated(폐..

Front-end/React 2024.12.05

현대 웹 개발의 렌더링 방식: SSR, CSR, SSG, ISR 완벽 정리 🌝

렌더링 방식을 선택할 때 무엇이 중요할까?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어디에서 HTML을 생성하고 콘텐츠를 렌더링할지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에요. 과거에는 주로 서버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SSR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어요. 이후엔 사용자 경험이 점점 중요해지면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하는 CSR 방식이 부각되기도 했어요. 최근에는 다양한 요구에 맞춰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SSG와 ISR같은 새로운 렌더링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기도 해요. 하지만 결국엔 각각에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메인과 프로젝트의 특성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렌더링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어요. 각각이 어떤 렌더링 방식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살펴봅시다! 🚀1.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CSR: Client-..

Web 2024.11.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