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 5

[WEB] Waterfall 현상: 웹 퍼포먼스의 내부 톺아보기 💧

Waterfall 현상 톺아보기!💧웹 퍼포먼스 최적화 이야기에서 종종 등장하는 “Waterfall 현상”은 네트워크 요청이 마치 폭포처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웹 페이지가 로드될 때, 각 자원(이미지, 스크립트, 스타일시트 등)의 요청이 발생하는 방식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이것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잘못 관리되면 성능 저하와 사용자 경험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요청 간의 의존성과 브라우저의 요청 처리 방식이 원인입니다.특히, 동기적 요청이 많거나 자원이 서로 의존적인 경우, 특정 자원이 로드될 때까지 다음 요청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페이지 로딩 시간이 늘어나고,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낄..

Web 2025.01.29

[WEB] Content-Type: 웹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

Content-Type 톺아보기! 📚웹 개발을 하다 보면 HTTP 요청과 응답 헤더에 Content-Type이 꼭 등장하죠.  HTTP 통신에서 Content-Type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형식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주는 헤더의 핵심 요소입니다.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 전달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 오늘은 Content-Type의 역할, MIME 타입,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와 multipart/form-data를 포함해, Content-Type의 다양한 타입과 활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Content-Type이란?Content-Type은 HTTP 헤더의 한 종류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의 형..

Web 2025.01.19

[HTTP] HTTP Content Negotiation: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대화 기술 🗣️

HTTP Content Negotiation 톺아보기 🗣️웹에서 데이터가 오가는 과정은 마치 “메뉴판을 보고 요리를 주문하는 손님과 셰프” 같은 대화로 이루어져요. 클라이언트(손님)는 자신이 어떤 형식의 데이터를 원하는지 “요청”하고, 서버(셰프)는 그에 맞는 데이터를 “응답”합니다. 이 대화 과정을 HTTP에서는 Content Negotiation(콘텐츠 협상)이라고 불러요. 🧑‍🍳 🍽️ Content Negotiation이란?Content Negotiation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 형식과 표현 방식을 조율하는 HTTP 메커니즘이에요.즉, 클라이언트가 “JSON으로 주세요!“라고 요청하면, 서버가 그에 맞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죠.왜 필요할까?다양한 클라이언트 지원: 브라우..

Web 2025.01.12

패킷(Packet)이란? 📦

패킷(Packet)이란? 📦 패킷은 네트워크 세상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작은 택배 상자와 같아요.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큰 데이터를 잘게 나눠서 “패킷 단위”로 주고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이 방식 덕분에 네트워크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어요! 📦패킷의 구조 🧩 패킷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요. 각각이 데이터 전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헤더(Header)패킷의 머릿말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담고 있어요.소스 IP 주소: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의 IP 주소.목적지 IP 주소: 데이터를 받을 장치의 IP 주소.프로토콜 정보: TCP, UDP 등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정보.패킷 번호: 데이터를 조각내었을 때, 조각들의 순서.제어 정보: 오..

네트워크 2024.06.19

인터넷 통신 과정: 어떻게 웹이 작동할까? 🌐

인터넷 통신 과정: 어떻게 웹이 작동할까? 🌐인터넷 통신은 클라이언트(사용자의 브라우저)와 서버(웹 페이지 제공자)가 주고받는 대화라고 할 수 있어요.이 대화를 통해 여러분이 주소창에 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멋진 웹 페이지가 눈앞에 펼쳐지죠!그럼, 이 마법 같은 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하나씩 따라가 보겠습니다. 🚀클라이언트 측 🖥️1. URL 입력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example.com을 입력합니다.브라우저는 입력된 URL을 분석해요.프로토콜: http:// 또는 https://도메인 이름: example.com경로: /about, /contact 등  2. DNS 조회: 도메인을 IP로 변환브라우저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Domain Na..

네트워크 2024.06.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