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ev-ops 18

🚀 Yarn Berry 완벽 정리: 개념부터 캐시 관리까지!

🚀 Yarn Berry 완벽 정리: 개념부터 캐시 관리까지!  “Yarn Berry(버전 2 이상)의 진정한 강점을 알아보자!”이전 Yarn과 무엇이 다를까? 캐시 관리는 어떻게 할까?”📌 목차 1️⃣ Yarn Berry란?2️⃣ Yarn 1과 Yarn 2(이후 버전)의 차이점3️⃣ Zero-Install과 PnP(Plug’n’Play)란?4️⃣ 캐시 관리: 어떻게 동작하고, 어떻게 최적화할까?5️⃣ 실전 예제: 캐시 클리어 및 최적화6️⃣ 결론1️⃣ Yarn Berry란? 🟣 Yarn Berry는 Yarn 2 이상의 버전을 의미하는 코드네임이에요.Yarn 1.x와 비교하여 속도, 효율성, 보안성이 크게 향상된 것이 특징이에요. ✅ Yarn Berry의 핵심 특징✔️ Zero-Install 🏎️:..

Dev-ops 2025.03.22

🚀 CircleCI 개념부터 실전까지 완벽 정리!

🚀 CircleCI 개념부터 실전까지 완벽 정리!  “자동화 배포와 빌드의 마법사, CircleCI!”CI/CD의 핵심 개념과 CircleCI의 주요 기능을 완벽히 이해해보자!📌 목차 1️⃣ CircleCI란 무엇인가?2️⃣ CircleCI의 주요 구성 요소3️⃣ CircleCI의 기본 문법4️⃣ Orbs, Steps, Matrix란?5️⃣ CircleCI 대시보드 활용법6️⃣ 실전 예제: React 프로젝트에 CircleCI 적용하기7️⃣ 결론1️⃣ CircleCI란 무엇인가? CircleCI는 CI/CD(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 자동화 도구로,GitHub, Bitbucket 등의 코드 저장소와 연동해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를 수행..

Dev-ops 2025.03.21

🚀 Next.js 워크플로우 완전 정복

🚀 Next.js 워크플로우 완전 정복 Next.js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인 CI/CD를 위한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설정 📌 목차1️⃣ Next.js에서 CI/CD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2️⃣ Next.js 워크플로우 기본 구조3️⃣ 주요 구성 요소 (on, jobs, steps, needs 등)4️⃣ Next.js CI/CD 자동화 설정 예제5️⃣ 배포 자동화를 위한 추가 최적화 전략6️⃣ 결론1️⃣ Next.js에서 CI/CD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Next.js 프로젝트에서는 정적 생성(SSG),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API Routes, Image Optimization 등여러 가지 기능이 존재하기 때문에 배포 자동화와 성능 최적화가 매우 중요해요.CI/CD를 통해 🚀✅ ..

Dev-ops 2025.03.20

🚀 Testing Library 계열 워크플로우 완전 정복

🚀 Testing Library 계열 워크플로우 완전 정복 Testing Library를 활용한 CI/CD 최적화 방법, 코드 품질 보장 전략, 그리고 Codecov 연동까지!🛠️ CI 시간 단축 | 린트 & 타입 체크 자동화 | 유닛 테스트 검증 | 크로스 플랫폼 테스트📌 Testing Library 계열 워크플로우란? Testing Library는 DOM 테스트를 중심으로 한 JavaScript 테스트 프레임워크예요.✅ UI 컴포넌트를 마치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처럼 테스트✅ Jest, React Testing Library, DOM Testing Library 등의 도구와 함께 사용✅ 렌더링된 요소를 직접 검증하여 코드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활용 CI/CD 환경에서는 이걸 활용해서✔️ 자동으로 ..

Dev-ops 2025.03.19

🚀 CI/CD에서 React Testing Library 워크플로우 살펴보기

🚀 CI/CD에서 React Testing Library 워크플로우 살펴보기 테스트 자동화를 적용한 CI/CD 파이프라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React Testing Library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제대로 파헤쳐보자! 🎯📌 CI/CD에서 워크플로우란? CI/CD에서 워크플로우(Workflow) 는 테스트, 빌드, 배포 등 자동화된 작업의 흐름을 의미해요.✔️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테스트 및 빌드를 수행✔️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지속적 배포): CI 단계를 통과한 코드를 운영 환경에 배포 즉, 워크플로우를 설정하면, 코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테스트를 실행하고, 문제가 없다면 배포..

Dev-ops 2025.03.17

🏗️ IaC (Infrastructure as Code):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시대!

🏗️ IaC (Infrastructure as Code):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시대! “개발 환경에서는 잘 돌아가는데, 운영 환경에선 왜 깨질까?”“같은 설정인데 왜 내 환경에서는 문제없는데 동료는 에러가 날까?”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IaC(Infrastructure as Code) 입니다.이제 인프라를 손으로 클릭하며 설정하는 게 아니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는 시대가 되었어요! 🚀🌱 IaC란 무엇인가? **Infrastructure as Code(IaC)**는 코드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의미해요.즉,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로드 밸런서 같은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여 자동화할 수 있어요. ✅ IaC의 핵심 개념 • 인프라 환경을 코..

Dev-ops 2025.03.15

🚀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CI/CD 완벽 가이드!

🚀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CI/CD 완벽 가이드! CI/CD(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수 요소가 되었어요.👉 코드 변경 사항이 자동화된 방식으로 테스트 및 배포되어 개발 속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보장하는 핵심 프로세스죠.특히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도 CI/CD를 적용하면 배포가 한결 쉬워지고, 팀워크가 더욱 원활해져요! 오늘은 프론트엔드 관점에서 CI/CD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도구들을 활용하면 좋은지 상세하게 알아볼게요! 🛠️🔹 CI/CD란 무엇인가? 1️⃣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란? CI는 코드를 자주, 지속적으로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해요.즉, 개발자들..

Dev-ops 2025.03.14

도커 데스크탑이 무거울 땐, Colima

얼마전 도커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Colima는 Docker 데몬을 대체하는 경량화된 가상화 도구로, 주로 macOS와 Linux에서 Docker를 사용할 때 퍼포먼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Colima는 Docker의 대안으로, QEMU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컨테이너 환경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Apple Silicon(M1, M2) 기반의 Mac에서 Docker가 느리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Colima의 주요 특징  1. 경량 가상화: • Colima는 QEMU를 기반으로 하는 경량 가상화를 제공하여 Docker Desktop보다 성능이 뛰어난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Apple Silicon과 같은 ARM 기반 아..

Dev-ops 2024.10.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