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95

JSX란 무엇인가?

JSX의 탄생 배경 JSX(JavaScript XML)는 자바스크립트 문법 안에 HTML과 같은 구문을 쓸 수 있도록 만든 특별한 문법이에요. JSX는 리액트와 함께 페이스북에서 개발됐어요. 웹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복잡해지면서, UI를 다루기 위한 간결하고 효율적인 방식이 필요했죠. JSX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가 한데 섞인 형태로, 개발자가 UI를 코드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 줍니다.  JSX는 왜 필요한 걸까? 리액트로 UI를 구성하다 보면 HTML 태그처럼 UI 요소들을 표현할 일이 많아요. 여기서 JSX가 빛을 발하는데, HTML과 비슷한 구문으로 컴포넌트를 작성할 수 있어 가독성이 높아지고, UI 구성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만들어 줘요. 바벨(Babel) 같은 트랜스파일러가 JSX..

Front-end/React 2024.11.16

번들러: 왜 필요한가, 어떤 번들러를 선택할까?

번들러란? 번들러는 여러 파일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하나의 파일, 혹은 몇 개의 파일로 묶어주는 도구예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자바스크립트, CSS, 이미지 등 다양한 파일이 사용되는데, 이 파일들을 한꺼번에 묶어 최적화된 형태로 브라우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렇게 번들러가 코드의 크기를 줄이고, 불필요한 요청을 최소화해 웹사이트 로딩 속도를 개선해 주죠.리액트와 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번들러는?리액트와 뷰 같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서는 주로 Webpack이나 Vite가 많이 쓰입니다. 각각의 번들러는 프로젝트의 성격이나 팀의 선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어요.• Webpack: 가장 널리 쓰이는 번들러로, 유연하고 강력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합니다.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세세한..

Front-end/React 2024.11.15

ESLint와 Prettier: 코드 품질과 스타일을 관리하는 비밀 무기!

ESLint: 린터로 코드 품질 높이기 ESLint는 코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리 찾아내고, 코드 품질을 높여주는 자바스크립트 린터예요. 말 그대로 코드의 “문법 검사기” 같은 역할을 하면서 개발할 때 실수를 줄여줍니다. 예를 들어,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사용했거나, 사용하지 않는 변수가 남아있을 때, ESLint가 미리 알려줘요. 에러를 줄여주는 것뿐 아니라,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코드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해주는 역할도 하죠.ESLint의 주요 기능 • 에러 감지: ESLint는 사소한 오타나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해줘서 코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일관성 있는 코드 스타일: 프로젝트 전체에서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게 해 주고, 팀 내에서도 같은 규칙을 적용할 수 있어 협업에 유리해요.•..

Front-end/React 2024.11.14

리액트 작업 환경 설정: Node.js, npm, nvm, 그리고 yarn, 왜 이걸로 시작할까?

리액트를 개발하려면 몇 가지 기본 도구를 먼저 세팅해야 해요. 이런 도구들이 뭐고 왜 필요한지 알면 작업 환경이 훨씬 깔끔해지겠죠? Node.js, npm, nvm, 그리고 yarn이 리액트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Node.js: 리액트의 든든한 배경 우선 Node.js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이에요. 원래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서만 돌아갔지만, Node.js 덕분에 서버나 로컬 컴퓨터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됐죠.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고 실행하려면 Node.js가 기본적으로 필요해요. 설치 방법: Node.js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LTS 버전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npm: 패키지 관리의 필수 도구 Node.js를 설치하면 **npm(Node Packag..

Front-end/React 2024.11.13

리액트의 가상 DOM과 진짜 DOM: 과연 DOM이 느린 걸까?

DOM이 느리다? 그게 정말일까? 흔히 “DOM 조작은 느리다”라고 하는데, 사실은 조금 달라요. DOM 자체가 느린 건 아니지만, 복잡한 업데이트를 반복해서 할 때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화면에서 여러 요소를 한꺼번에 계속해서 바꾸는 상황이 발생하면, 브라우저가 DOM 트리를 계속 갱신해야 해서 부담이 커지죠. 리액트는 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상 DOM(Virtual DOM)을 사용해요. 가상 DOM은 메모리 상에서 HTML의 “사본”을 만들어 놓고, 이걸 먼저 업데이트하면서 변경 사항을 파악해 필요한 부분만 실제 DOM에 반영합니다.리액트의 목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와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적화 리액트가 가상 DOM을 쓰는 이유는 바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

Front-end/React 2024.11.12

리액트의 렌더링, 초기 렌더링, 그리고 Reconciliation

리액트를 다루다 보면 렌더링에 대해 많이 듣게 될 거예요. 리액트에서 렌더링은 단순히 “화면에 그림을 그린다” 수준이 아니라, 최대한 효율적으로 DOM 업데이트를 최소화해서 전체적인 성능을 챙기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그래서 처음 화면을 그릴 때와, 상태가 바뀌어 재렌더링할 때, 리액트가 다르게 동작하죠.  1. 초기 렌더링: 첫 화면을 DOM에 주입하기 처음 앱이 로드되면,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쭉 읽으면서 HTML을 문자열 형태로 생성합니다. 그 후 특정 DOM 노드에 HTML을 주입해 첫 화면을 그려요. 예를 들어, document.getElementById('root') 같은 특정 DOM에 만들어진 내용을 넣는 방식입니다. 이때 이벤트도 설정해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죠.import ..

Front-end/React 2024.11.11

[React] 왜 리액트인가? 알아보자! 🤔

왜 리액트인가? 알아보자! 🤔왜 하필 리액트? 자바스크립트만으로는 도대체 뭐가 문제길래?대규모 앱을 자바스크립트로만 관리하려고 해보면… 뭔가 삐걱거리는 느낌이 들 거예요. 자잘한 상태 관리부터 DOM 직접 조작까지 일일이 해줘야 하니까, “내가 이걸 왜 하고 있지?” 하는 생각이 절로 들죠. 특히나 사용자 많고 데이터도 복잡한 대규모 프로젝트라면 더더욱 힘들어져요.자바스크립트만으로는 어려운 점상태 관리와 반응성여기저기서 컴포넌트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태에 따라 화면을 즉각 업데이트해줘야 하는데, 자바스크립트만으로는 그 과정이 복잡해지고 코드도 금세 엉망진창 되기 딱 좋습니다.유지보수와 확장성개발이 진행될수록 코드가 길어지고 여기저기서 고쳐야 할 부분이 생기는데, 자바스크립트로 DOM 조작을 직접 하다..

Front-end/React 2024.11.10

[Web Pack] 웹팩, 현대 웹 개발의 필수 도구! 👍

Webpack: 현대 웹 개발의 필수 도구Webpack은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모듈 번들러입니다. 여러 개의 파일을 묶어 관리하고 최적화된 결과물을 생성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Webpack의 개념, 주요 기능, 설치 및 설정 방법과 함께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를 다뤄보겠습니다. 📦📘 Webpack의 기본 개념1. Webpack이란?Webpack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파일들을 모듈 단위로 묶어서 번들로 생성하는 도구입니다. 번들링 과정을 통해 JavaScript, CSS, 이미지 등 다양한 자원을 하나로 통합하거나, 효율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합니다. 2. 주요 용어 정리모듈(Module):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코드 단위로, JavaS..

Front-end 2024.10.28

도커 데스크탑이 무거울 땐, Colima

얼마전 도커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Colima는 Docker 데몬을 대체하는 경량화된 가상화 도구로, 주로 macOS와 Linux에서 Docker를 사용할 때 퍼포먼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Colima는 Docker의 대안으로, QEMU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컨테이너 환경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Apple Silicon(M1, M2) 기반의 Mac에서 Docker가 느리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Colima의 주요 특징  1. 경량 가상화: • Colima는 QEMU를 기반으로 하는 경량 가상화를 제공하여 Docker Desktop보다 성능이 뛰어난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Apple Silicon과 같은 ARM 기반 아..

Dev-ops 2024.10.21

React와 Vue의 라이프사이클 톺어보기

프론트엔드 라이프사이클: React와 Vue에서의 이해와 활용 프론트엔드 라이프사이클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생성, 업데이트 및 소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와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라이프사이클을 이해함으로써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효율적인 상태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1. 프론트엔드 라이프사이클의 기본 개념 프론트엔드 라이프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를 포함한다:  • 생성(Creation): 애플리케이션이 처음 로드될 때 발생하는 단계. DOM이 생성되고, 초기화 작업이 진행된다. • 업데이트(Updating): 애플리케이션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UI가 업데이트되는 단계. • 소멸(Destroying): 애플리케이..

Front-end 2024.10.07
728x90
반응형